정책 정보

자동차세 연납 핵심정보 요약정리 (절세 혜택)

브로콜리3 2024. 1. 25.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동차세 연납 제도에 대해서 설명드리며, 장점과 단점, 신청 기간, 신청방법, 그리고 세금을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과 혜택을 확인하시고, 알뜰하고 스마트한 세금 관리를 시작해 보시길 바랍니다.

 

자동차세 연납 제도란?

자동차세 연납의 개념

1기분(6 1630) 2기분(12 1631)으로 연 2회 나누어 납부하던 자동차 세액을 한꺼번에 납부하여, 세액 공제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의 장점 및 단점

장점 : 세액공제

연납 신청의 장점이라 하면 먼저 100분의 10의 범위, 즉 총 납부세액의 10% 내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신청기간에 따른 할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공제율
1월 2 ~ 12 11개월 분의 5% 할인
3월 4 ~ 12 9개월 분의 5% 할인
6월 7 ~ 12 6개월 분의 5% 할인
9월 10 ~ 12 3개월 분의 5% 할인

 

점 : 약간의 수고로움

사실 단점이라 할 것은 별로 없습니다만, 귀찮은 것이 싫으신 분들은 별도로 연납 신청을 해야하는 수고로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경제적인 이점이 발생하니 추천드립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기간 및 신청시간

신청기간

지방세법 제128 3항에 의거하여 아래 표에 따라 해당 월 16일부터 신청 가능하며, 아래 표에 기입된 기간 기간에만 연납 신청이 가능하니 주의바랍니다.

구분 기간
1월 1 16일 부터 1 31일까지 (단, 1월 연납 신청 기간에는 신청 시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3월 3 16일 부터 3 31일까지
6월 6 16일 부터 6 30일까지
9월 9 16일 부터 9 30일까지

 

추가로 서울시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1월 에는 제한되니, 관할지가 서울시인 경우 서울시 이택스 혹은 관할 자치단체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 시간

아래 표에 기입된 시간별로 신청 가능 시간이 구분되어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구분 시간
평일 7시부터 22시까지
토요일 7시부터 15시까지
해당월 말일 (마감일) 7시부터 19시까지 
(관련기관의 시스템 점검으로 인해 19시까지 신청 가능)
공휴일 (일요일, 대체 공휴일 포함) 신청불가

 

자동차세 연납 신청방법 및 신청절차

PC, 모바일, 직접방문 등 아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동차세 연납 신청 해주시면 됩니다.

 

PC로 자동차세 연납 신청하기

위택스에 접속하여 로그인 합니다. (자동차세는 지방소득세에 해당하므로 홈택스가 아닌, 위택스(110)로 방문 하셔야 합니다.)

 

 

'납세서비스' 메뉴에서 '자동차세 연납 신청' 선택합니다.

연납 신청할 자동차의 번호와 연납 횟수를 입력합니다.

정보에 이상이 없으면, 신청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신청 후 즉시 납부가 가능하며, 납부기한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납부하기] -> [지방세]에서 부과된 고지내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택스 스마트폰 앱으로 신청하기

 

 

 

위택스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자동차세는 지방소득세에 해당하므로 홈택스가 아닌, 위택스(☎110)로 방문 하셔야 합니다.)

앱 로그인 후, '납세서비스' 메뉴에서 '자동차세 연납 신청'을 선택합니다.

연납 신청할 자동차의 번호와 연납 횟수를 입력합니다.

기입 정보에 이상이 없으면, 신청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신청 후 즉시 납부가 가능하며, 납부기한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납부하기] -> [지방세]에서 부과된 고지내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C 및 모바일 신청결과 조회하기

회원의 경우 : [홈택스 로그인] -> 우측 상단 [전체메뉴] -> [신고하기] -> [신고내역] -> [지방세] -> 조회 조건 설정 후 [검색] 클릭

비회원의 경우 : 우측 상단 [전체메뉴] -> [부가서비스] -> [자동차세 연납 신청] -> [비회원 신고조회] > '신고자 주민 혹은 법인번호' '차량번호' 입력 후 [검색] 클릭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기

가까운 세무서나 지방자치단체에 방문하여, 자동차세 연납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고 납부하시면 됩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고시 유의사항

고지서가 필요한 경우?

고지서가 필요한 경우에는 신고 후 해당 자치단체로 신고납부 마감 5일 전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공동명의 차량의 경우?

공동명의 차량의 경우 대표명의자로 신청 가능합니다.

 

차량 정보 일치여부?

차량정보 검색 시 반드시 자동차 등록원부와 같아야 합니다.

 

 

차량정보 검색이 안될 때는?

차량정보 검색이 불가한 경우 관할 자치단체로 유선 신청이 가능합니다.

 

자동차세 연납 취소 방법?

서울시 신청건(회원/비회원)은 취소가 불가합니다.

서울시 외 지역 비회원 신청건은 위택스 로그인 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취소가 불가한 건에 대해서는 관할 자치단체로 부과취소 요청해 주시면 됩니다.

 

승용차 요일제 차량은?

승용차요일제에 따른 세액공제가 적용되는 자치단체에 등록된 차량일 경우, 연납신청 단계에서 요일제에 대한 문구가 노출됩니다. (대상이 아닌 지역의 경우, 승용차 요일제 문구 표기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세 연납 제도와 관련하여 장점과 단점, 신청 기간, 신청방법 및 절차, 그리고 세금을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으며, 알뜰하고 스마트한 세금 관리를 응원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